고용노동부는 일하는 시간과 장소가 유연한 근무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제도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유연한 근무, 우리 기업은 어떻게 운영 할까요」안내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유연근무 안내서는 직무부적합, 사내눈치, 비용증가 등으로 유연근무 도입이 어렵다는 기업CEO 등의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유연근무 유형별 적합한 직무, 도입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내용 등으로 구성하였다.
유연근무 안내서는 총 2권으로 지난 11.11. 발간한 1권은 유연근무·휴가제도 도입 우수사례를 소개하였으며, 이번에 발간한 2권은 유연근무·원격근무 도입단계별 주요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특히 CEO, 인사담당자, 중간관리자가 유연근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①업무 생산성 향상, ②이직률 감소, ③조직만족도와 직무몰입도 증대(조직몰입도 86→91로 증가) 등의 긍정적 성과를 거둔 기업의 사례도 소개하고 있다.
유연근무·원격근무 도입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된 2권 안내서는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근무제 등 장시간 근로 개선, 생산성 향상 등의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유연근무 도입 단계(①진단 → ②제도 설계 → ③실행 → ④사후관리)에 따라 고려해야 할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 밖에 「근로시간 유연화 지원제도」에는 기업이 유연한 근무 제도를 도입하였을 때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 지원 금액, 신청방법 등도 안내하고 있다.
매뉴얼은 전국 주요 사업장, 사업주단체, 고용센터 및 일자리 유관 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나 일가양득 홈페이지(www.worklife.kr)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고용구조의 변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력구조의 변화가 급격한 시기에 경직적 근로관행을 유연하게 바꾸는 근무혁신은 기업의 생존 전략이며,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여 시간나누기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현장의 실천이 근무혁신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기업의 자발적인 변화를 기대하며, 정부도 유연근무 지원, 전환형 시간선택제 지원 등 다양한 지원제도를 통해 뒷받침 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유연근무 안내서는 직무부적합, 사내눈치, 비용증가 등으로 유연근무 도입이 어렵다는 기업CEO 등의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유연근무 유형별 적합한 직무, 도입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내용 등으로 구성하였다.
유연근무 안내서는 총 2권으로 지난 11.11. 발간한 1권은 유연근무·휴가제도 도입 우수사례를 소개하였으며, 이번에 발간한 2권은 유연근무·원격근무 도입단계별 주요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특히 CEO, 인사담당자, 중간관리자가 유연근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①업무 생산성 향상, ②이직률 감소, ③조직만족도와 직무몰입도 증대(조직몰입도 86→91로 증가) 등의 긍정적 성과를 거둔 기업의 사례도 소개하고 있다.
유연근무·원격근무 도입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된 2권 안내서는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근무제 등 장시간 근로 개선, 생산성 향상 등의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유연근무 도입 단계(①진단 → ②제도 설계 → ③실행 → ④사후관리)에 따라 고려해야 할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 밖에 「근로시간 유연화 지원제도」에는 기업이 유연한 근무 제도를 도입하였을 때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 지원 금액, 신청방법 등도 안내하고 있다.
매뉴얼은 전국 주요 사업장, 사업주단체, 고용센터 및 일자리 유관 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나 일가양득 홈페이지(www.worklife.kr)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고용구조의 변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력구조의 변화가 급격한 시기에 경직적 근로관행을 유연하게 바꾸는 근무혁신은 기업의 생존 전략이며,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하여 시간나누기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현장의 실천이 근무혁신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기업의 자발적인 변화를 기대하며, 정부도 유연근무 지원, 전환형 시간선택제 지원 등 다양한 지원제도를 통해 뒷받침 하겠다”고 전했다.